전시 대한민국과학기술대전 R&D 연구성과 전시가 운영되는 곳이에요!
국가전략기술, 지역특화사업 등이 한 자리에 모였답니다
장소 : 대전컨벤션센터(DCC) 제1,2전시장과학문화 체험부스 행사장 안내이미지

제6회 대한민국과학기술대전

  • 주요내용주요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첨단기술과 CES 출품작 등 대표기업 제품, 출연연 및 대학 우수성과 등의 R&D 연구성과 전시
  • 운영장소대전컨벤션센터 제2전시장
  • 운영시간(수) 14:00∼19:00, (목~일) 10:00∼17:00
  • 참여기관출연연, 과기원, CES 전시기업, 대학 등 약120개 기관
  • 공간 개요
행사장 사진1

공간① 기관성과관

  • 주요내용기초연구부터 사업화까지 주요 연구기관들의 우수연구 성과와 기관소개 등을 전시
  • 참여기관기초과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18개 기관
  • 주요콘텐츠웨어러블 로봇, 양자컴퓨팅, 인공지능(AI) 기술 등
  • 공간 개요
공간① 기관성과관의 부스번호, 구분, 콘텐츠명, 참여기관 제공
부스번호 구분 콘텐츠명 참여기관
1 전시 가상현실 반도체 장비 및 나노바이오 모듈칩 등 전시 나노종합기술원
2 전시 수소 연구성과 및 태양광, CCUS 기술 실물 전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3 전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및 달 탐사선 다누리 등 성과물 전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 전시 초전도 기반 양자컴퓨팅 시스템 구축 등 성과물 전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5 전시 인공지능 활용 디지털 의료기기 및 초박형 트레드밀 전시 광주과학기술원
6 전시 로켓 추진체 연소기 및 바이오센서 모형 전시 등 한국재료연구원
7 전시 과수 수확 로봇, 엑소수트, 인공지능 시스템 시제품 전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8 전시 고심도 지하실험시설(예미랩) 모형 및 인공지능 성과 등 기초과학연구원
9 전시 고속 중량형 4족보행 로봇 등 연구성과 전시 한국과학기술원
10 전시 용융염원자로 URECA 전시 등 한국원자력연구원
11 전시 연구개발 특구육성 R&D 과제 관련 우수 사업화 성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12 전시 반도체 소자 및 인공지능 등 연구성과 전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13 전시 실내 공기중 유해물질 등 상시·동시 저감 기술 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4 전시 고준위방사성 폐기물 처분 시스템 등 성과 전시 (재)사용후핵연료관리 핵심기술개발사업단
15 전시 AI X-ray 이미지 3D 영상 변환 기술, 원격파일럿 등 성과물 전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6 전시 성과전시물 추후 취합 울산과학기술원
17 전시 생물자원포털 및 모델동물 클러스터 구축 운영 성과 등 국가모델동물연구소
18 전시 기초, 원천 연구 성과 등 소개 한국연구재단

공간②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관

  • 주요내용주요 국가전략기술 소개 및 분야별 우수성과 전시
  • 참여기관광주과학기술원, 한국화학연구원 등 55개 기관
  • 운영장소대전컨벤션센터 제2전시장
  • 주요콘텐츠인공지능(AI), 수소, 첨단바이오 등 기술 성과
공간② 국가전략기술관의 부스번호, 구분, 콘텐츠명, 참여기관 제공
부스번호 구분 콘텐츠명 참여기관
전시 (인공지능) 인공지능의 지능 측정을 위한 ARC 문제 등 광주과학기술원 등
전시 (수소) 세계 최고 수소 저장용량 액상유기수소저장체 등 한국화학연구원 등
전시 (첨단바이오) 바느질 없이 심장에 부착하는 전자패치 등 성균관대학교 등
전시 (차세대 원자력) 심우주 원자력, 심해양 원자력 기술 등 한국원자력연구원 등
전시 (반도체디스플레이) 멤리스터 기반 뉴로모픽 시냅스 어레이 등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
전시 (에너지) 공정배가스 연계 무포집형 CO2 합성가스 생산기술 등 고등기술연구원 등
전시 (환경) 메탄가스 전환을 통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기술 등 서강대학교 등
전시 (우수성과 100선) 전기차 화재 진화 기술 등 연구성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시 (우수성과 100선)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시스템 등 연구성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시 (실험실창업) 긴급구호용 드론 등 공공연구성과 창업 성과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 달리기 엑소슈트, 비접촉 생체센서, AR 교육컨텐츠,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시스템 등

공간③ CES 혁신기업관

  • 주요내용2025년 CES 참가 기업 등의 주요성과 전시
  • 참여기관삼성디스플레이, 엔젤로보틱스 등 24개 기관
  • 주요콘텐츠디스플레이, 웨어러블로봇, 인공지능 기술 등
공간③ CES 혁신기업관의 부스번호, 구분, 콘텐츠명, 참여기관 제공
부스번호 구분 콘텐츠명 참여기관
전시 QD-OLED 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전시 보행 재활용 웨어러블 로봇 엔젤로보틱스
전시 물도리 온실, 변색필름, 발열필름 인네이처
전시 무인과수방제로봇 주식회사 하다
전시 X-Runner ㈜뉴작
전시 메커니즘 생성형 설계 AI 소프트웨어 ‘METHEUS’ 및 HW 모듈 주식회사 아이디어오션
전시 심스페이스 (AI 마음일기) 테바소프트㈜
전시 AI CDS (가축 이상 징후 탐지 AI 카메라) (주)아이티테크
전시 디지털형 후각 치매진단장치 및 디지털 향수 시향 플랫폼 주식회사 디지털센트
전시 전기차 안전성 진단 모니터링 H/W, S/W 메타모빌리티 주식회사
전시 디지털 트윈 전주기 솔루션 스탠스
전시 스마트 자세교정기 주식회사 피지오
전시 양자통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주식회사 큐심플러스
전시 이명 치료 디지털 기기 TD Square 한양대 게임연구실
전시 조리로봇(X wok / X reciper) 만다린로보틱스(주)
전시 실시간 스택 상태진단을 위한 임피던스 스캐닝 솔루션 ㈜에이치투시스템스
전시 에너지하베스텅 기반으로 한 무전원 보안센서 및 비상벨 (주)해피전자
전시 CCTV 관제 소프트웨어 빅버드 주식회사
전시 스마트 체온계와 플랫폼 ㈜오티톤메디컬
전시 AI 수질정화로봇(ECO-BOT) 모형 에코피스 주식회사
전시 살균키오스크, 악취청정기, 무흄 스마트 조리후드 에어몬 주식회사
전시 인공지능 기반 2차원 싱글 X-ray 이미지의 3차원 변환 및 영상 화질 개선 기술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시 HealthSync(AI 의사진단 보조 및 IoT 통제 시스템) 주식회사 알엑스오
전시 Slyric - 나만을 위한 최적의 AI 수면 솔루션 뉴로모먼트 주식회사

공간④ 기초원천 성과관

  • 주요내용과학기술분야 기초연구사업 지원 주요 연구성과 전시를 통해 대학의 첨단 연구 성과와 창의적 아이디어 소개
  • 참여기관광주과학기술원, 성균관대학교 등 24개 대학 연구센터(실)
  • 주요콘텐츠선도연구센터 및 개인연구사업 지원 주요 연구성과 등
공간④ 기초연구관의 부스번호, 구분, 콘텐츠명, 참여기관 제공
부스번호 구분 콘텐츠명 참여기관
전시 세계최초 R2R 인쇄 파운드리 성균관대학교
전시 오류 DB 및 검색 인터페이스 구축, 코드 자동수정 프레임워크 경북대학교
전시 비활성 중성미자 탐색용 RENE 실험 검출기 전남대학교
전시 심/뇌혈관 유동 가시화 XR 플랫폼 한양대학교
전시 소상공인 정책 플랫폼 및 연구성과 인하대학교
전시 발달지연장애조기예측 VR컨텐츠 순천향대학교
전시 중대분자를 활용한 새로운 항암제 개발 광주과학기술원
전시 밀리미터파 실시간 통신 등 한양대학교
전시 ITO 전극 대체 가능한 전도성 고분자 개발 및 응용 제품 부산대학교
전시 해저지반 천층부탐사용 자중관입식 콘관입 시험기 한양대학교
전시 파이토케미칼기반 디지털 육종을 통한 신작물 개발 성과 세종대학교
전시 다기능 밀리미터파 위상 배열 시스템 전북대학교

공간⑤ 미래 과학자를 위한 멘토링 스테이션

  • 주요내용중·고등학생 대상 KAIST 학생들이 과학기술분야 꿈을 키울 수 있도록 학업·진로 상담과 행사장 투어를 진행
  • 운영장소대전컨벤션센터 제2전시장 멘토링스테이션
  • 운영일시25. 4. 18(금) ~ 20(일) (1부: 10:00~12:00 / 2부: 14:00~16:00)
  • 주요콘텐츠진로 상담, 학업 멘토링, 행사장 투어 등(개인 또는 그룹)

공간⑥ 과학기술 오픈스테이지

  • 주요내용포럼, 강연, 시상식 등 다양한 지식 공유 소통 행사 운영
  • 운영장소대전컨벤션센터 제2전시장 메인무대
  • 무대 일정표
공간⑥ 과학기술 오픈스테이지 시간 및 일별 무대일정표 제공
시간 4.16.(수) 4.17.(목) 4.18.(금) 4.19.(토) 4.20.(일)
13:00~13:30 리허설 [포럼➁]
미세먼지 R&D 성과
(13:00~15:00)
리허설 리허설
13:30~14:30
(60분)
[강연➀]
과학크리에이터 특별강연
<유튜버 과학드림>
[강연➃]
x-stem
<류동석연구원>
[강연➅]
과학퍼포머 특별공연
<조호영 과퍼>
14:30~15:30 [포럼➀]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 연구 성과
(14:30~16:00)
리허설 리허설 리허설
리허설
15:30~16:30
(60분)
[강연➁]
과학크리에이터 특별강연
<유튜버 수상한생선>
[강연➂]
과학크리에이터 특별강연
<유튜버 과학쿠키>
[강연➄]
x-stem
<최윤석연구원>
[시상식]
해커톤대회
< KAIST >
종료
16:30~17:00 종료

[포럼①]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 연구 성과 공유회

  • 주요내용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 사업 성과의 국민체감도 제고를 위한 우수성과* 발표 및 시연* 야간산불 대응 활동 지원 차량, 전기차 화재사고 대응 침수 기술 등 7개 과제
  • 운영일시`25. 4. 16.(수) 14:30 ~ 16:00
  • 운영장소대전컨벤션센터(DCC) 제2전시장 메인무대(오픈스테이지)
  • 주최/주관과기정통부·행정안전부 / 한국연구재단
  • 프로그램 세부내용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 사업 성과의 국민체감도 제고를 위한 우수성과 발표 및 시연에 관한 시간, 세부내용, 비고 제공
시간 세부내용 비고
14:30~14:40
(10분)
인사말씀 과기정통부,행안부, 연구재단
14:40~15:25
(45분)
성과발표 (과제당 약 5~6분) 일반인 참석 가능
1. 해양방사능 감시:해수 중 방사성 핵종(90Sr) 신속분석 기술 개발 한국원자력연구원
2. 식품 내 식중독균 신속검출 체계개발 세니젠
3. 전기차 화재사고 대응 침수 기술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서한에프엔씨
4. 인공지능 기반 양계 관리 시스템 주시회사 유니아이
5. 과수 화상병 조기 감지를 위한 타겟 바이오마커 발굴 및 리셉토닉스 진단법 개발 성균관대학교
6. 야간산불 대응을 위한 산불진화대 활동 지원 차량 개발 ㈜에프원텍
7. 저궤도위성 백홀 TVWS 릴레이 이동기지국 이오넷(주)
15:25~15:30
(5분)
이동
15:30~16:00
(30분)
성과 시연 기초원천 성과관

[포럼②]미세먼지 R&D 성과 포럼

  • 주요내용미세먼지 R&D 사업* 추진 관련 주요 연구성과 및 향후계획 등 발표를 통한 성과 공유* 에너지환경통합형학교 미세먼지관리기술개발사업, 동북아-지역연계 초미세먼지대응기술개발사업, Net-zero대응 미세먼지저감기술개발사업 등
  • 운영일시`25. 4. 18.(금) 13:00 ~ 15:00
  • 운영장소대전컨벤션센터(DCC) 제2전시장 메인무대(오픈스테이지)
  • 주최/주관과기정통부 / 한국연구재단·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프로그램 세부내용
미세먼지 R&D 사업* 추진 관련 주요 연구성과 및 향후계획 등 발표를 통한 성과에 관한 시간, 대상사업, 발표주제, 연사자 제공
시간 대상사업 발표 주제 연사자
13:00~13:15
(15분)
에너지 환경 통합형 학교
미세먼지사업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학교 청정공조환기시스템 개발 및 실증 장춘만 연구위원
(건설기술연구원)
13:15~13:25
(10분)
어린이 개인노출평가에 따른 건강영향평가 김창수 교수
(연세대학교)
13:25~13:40
(15분)
동북아
미세먼지
사업단
항공관측의 힘: 대기질 연구의 새로운 지평 최용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13:40~13:50
(10분)
암모니아 저감용 가축분뇨 처리 통합 공정의 축분 공동자원화 시설 실증 김상도 책임연구원
(에너지기술연구원)
13:50~14:00
(10분)
Net-zero대응 미세먼지저감 기술개발사업 완전 무공해 모빌리티 (iZEM) 구현을 위한 브레이크 마모 미세먼지 저감장치 개발 우상희 선임연구원
(기계연구원)
14:00~14:10
(10분)
친환경 선박 미세먼지 및
GHG 저감 기술
황선미 교수
(에너지기술연구원)
14:10~14:20
(10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청정대기센터 미세먼지 취약군에서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뇌 위해성 평가 김윤경 책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4:20~14:30
(10분)
바이오미세먼지 탐지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
이지원 책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4:30~14:40 휴식
14:40~15:10
(30분)
종합토론 및 질의응답 좌장 : 김진영 소장(KIST)
토론자 : 임현(KISTEP), 송철한(GIST), 김영진(경북대), 김원호(국립보건연구원), 김상우(서울대)

[강연]과학커뮤니케이터 및 연구자 강연

과학커뮤니케이터 및 연구자 강연 구분, 성명, 사진, 소속, 주요이력 제공
구분 성명 사진 소속 주요이력
강연 과학
드림
(유튜버)
류동석 연구원 유튜브 과학드림 - (전) 청소년 과학잡지 <과학소년> 기자
- 1인 미디어 육성 사업 대상(과기정통부 장관상)
- 과기정통부 과학문화 확산 유공자 표창
수상한
생선
(유튜버)
류동석 연구원 유튜브 수상한생선 - 63만 과학 유튜브 채널 '수상한생선' 운영
- <진짜로 해부하는 과학책 1,2> 저자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커뮤니케이터
과학
쿠키
(유튜버)
류동석 연구원 유튜브 과학쿠키 - BBC사이언스코리아 투고
- KAIST 과학저널리즘 석사
- 공주사범대학교 물리교육 학사
류동석
(연구원)
류동석 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 원자력비상 대응을 위한 방재로소 3총사 개발
- 달탐사 및 현지자원호라용 로버개발
- 극한환경 로봇의 원격제어 및 인공지능 적용
최윤석
(연구원)
류동석 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강연배틀’ 사이언스 슬램D 우승자
- 2024 출연연 ‘우수성과분야’ 수상
조호영 류동석 연구원 XAM SCIENCE - 과학공연가 심화과정 수료
- 과학문화 융합공연 ‘우주시민 페스티벌’ 공동기획

[시상식]해커톤 대회 시상식

  • 주요내용202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해커톤 대회 시상식* 시상규모 : 대상 1팀, 최우수상 1팀, 우수상 2팀 등 4팀 시상
  • 운영일시‘25. 4. 20. (일) 16:00 ~ 17:30
  • 운영장소대전컨벤션센터 제2전시장 메인무대(오픈스테이지)
  • 주최대전시·대전관광공사
  • 주관사단법인 STDev, KAIST 총학생회 산하 SPARCS

공간⑦ VR 체험관 퓨처랩

  • 주요내용다양한 기술이 결합된 VR 체험 콘텐츠 제공
  • 운영장소대전컨벤션센터 제2전시장 퓨처랩
  • 주요콘텐츠VR 게임, 레이싱 VR, 롤러코스터 VR 체험 (총 3종)
공간⑦ VR 체험관 퓨처랩의 연번, 콘텐츠, 내용 제공
연번 콘텐츠 내용
1 일반 VR 파일럿 입체 체험, 공룡 테마파크, 리듬 게임 등
2 레이싱 VR 레이싱 어트랙션으로 다수 VR 레이싱 코스 체험 가능
3 롤러코스터 VR 공룡&동물 롤러코스터 VR 어트랙션

공간⑧ 디지털 휴게공간, 이노베이션 라운지

  • 주요내용로봇카페 운영과 더불어 AI 및 디지털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휴게 체험 공간
  • 운영장소대전컨벤션센터 제2전시장 이노베이션 라운지
  • 주요콘텐츠AI 위로미, 로봇 바리스타, 디지털 타투 체험 (총 3종)
공간⑧ 이노베이션 라운지의 연번, 콘텐츠, 내용 제공
연번 콘텐츠 내용
1 AI 위로미 고민과 스트레스를 덜어줄 AI 심리상담 솔루션
2 로봇 바리스타 로봇 바리스타가 제조해주는 음료를 맛볼 수 있는 체험
3 디지털 타투 세계최초 1초 만에 완성되는 디지털 타투 체험(SNS 이벤트 연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전광역시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연구재단
대전관광공사
과학문화민간협의회

©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