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올

통합검색

찾기

[연구성과] 절단된 신경 ‘밴드로 감아서’ 1분 만에 치료한다

작성일 2024-08-28

 

절단된 신경 ‘밴드로 감아서’ 1분 만에 치료한다

바느질 없이 신경봉합술 가능한 피부 모사 접착 패치 개발
 

뜻하지 않은 사고로 인체 일부가 절단됐을 때 바느질로 꿰맬 필요 없이,

절단된 신경을 1분 내로 연결할 수 있는 신경 봉합 패치가 개발됐습니다.

밴드처럼 감아주기만 하면 돼 봉합 성공률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국연구재단은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손동희 교수팀,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신미경 교수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박종웅 교수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실제 피부 구조를 모사해 강력한 조직 접착력을 보유한 패치형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교통사고나 산업 현장, 일상생활에서 손가락 등 인체 일부가 절단되는 외상성 절단 사고는 지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절단된 신경을 연결하기 위해 의료진은 머리카락보다 얇은 의료용 봉합사로 신경 외피를 바느질합니다. 이런 신경봉합술은 숙련된 의사도 신경 1가닥을 연결하는 데 10분이 걸릴 정도로 정교한 작업입니다.

피부 괴사를 막고 봉합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최대한 빠른 봉합술이 필요한데, 이런 어려움은 수술 시간을 늘리는 원인이 됩니다. 최근 개발된 조직 접착제는 인체 신경조직에 사용하기에는 접착력이 낮아 신경봉합술은 여전히 1900년대 방식에 머물러 있습니다.

 

공동연구팀은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피부 구조에서 영감을 얻어, 외부는 질기지만 내부로 갈수록 부드러운 조직으로 구성된 패치를 개발했습니다. 패치의 주요 소재로는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자가치유고분자*와 우수한 조직 접착력을 가지고 있는 하이드로젤을 사용했습니다.

자가치유고분자1)물성을 조절해 탄성 고분자와 점탄성 고분자, 접착 하이드로젤을 단계적으로 배치, 점탄성 고분자가 응력을 흡수하고 탄성 고분자가 복원력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강한 접착력을 구현했습니다. 이렇게 개발된 패치는 밴드처럼 간단히 신경을 감아주는 방법으로 적용합니다. 공동연구팀은 인체와 유사한 실험 모델을 통해 의사가 아닌 비전문가도 1분이면 신경 봉합이 가능함을 입증해냈습니다.

특히 영장류 모델 검증에서 손목 정중 신경을 절단 후 패치를 이용해 성공적으로 봉합했고, 엄지손가락의 움직임이 정상에 가까운 수준으로 회복되었음을 1년에 걸쳐 확인했습니다. 더불어 해당 패치에 신경 재생을 촉진하는 단백질 분자를 추가하면 기존 바느질 봉합술보다 조직재생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음을 설치류 모델에서 검증했습니다.

 

공동연구팀 손동희 교수는 “패치의 성능 검증 결과 신경조직 재생과 근육의 기능성 회복 정도가 봉합사를 이용한 방법과 차이가 없음을 확인했다”며, “신경봉합술은 신경 염증이나 종양의 절제, 장기 이식 등과 같은 수술에도 필요하므로 의료 현장에서 수술 성공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우수신진연구, 중견연구,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2024년 1월 26일 온라인 개재되었다.


1) 자가치유고분자: 물리적 손상을 입은 고분자가 스스로 결함을 감지해 구조를 복구하는 지능형 재료


[출처 : 한국연구재단 블로그]

출처 : 한국연구재단
 

한국

댓글 남기기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수 0

The Science Times
과학문화바우처
사이언스 프렌즈
STEAM 융합교육
CreZone 크레존
문화포털
과학누리
교육기부
EDISON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